연구결과 통합검색

검색조건 입력
빅데이터”(으)로 검색한 결과 총 4건이 검색되었습니다.

전체

대상별

인력수급 전망 방법론 연구

본 과제는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비롯하여 디지털 전환과 저탄소 전환을 반영한 장기 인력수요 전망, 단기 주요 업종별 일자리 전망 등 인력수급 전망을 위한 전망 방법론을 개선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서 인력공급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개발한 KEISIM 미시모의실험 모형을 활용한다. …

메뉴 : 한국고용정보원-국문>발간자료>연구결과물>연구사업보고서 게시일 : 2023년 8월 11일
빅데이터와 고용행정DB를 이용한 지역-산업 고용위기 모니터링 지표체계 연구

고용위기지역 지정 요건인 정량적인 고용지표의 악화는 고용위기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표이다. 그런데 고용지표는 경기후행적인 특징을 갖기 때문에 현재의 지정요건은 노동시장 이상징후를 선제적으로 감시하는 지표로서 적시성이 떨어진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지역 수준의 고용위기에 대한 판단을 …

메뉴 : 한국고용정보원-국문>발간자료>연구결과물>연구사업보고서 게시일 : 2022년 2월 23일
3.이슈분석3_4차 산업혁명과 직업정보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방안 모색

다가올 미래 지능정보화사회에서는 사이버-물리적 시스템에 따라 사회의 다양한 기능에 맞춘 서비스 플랫폼이 구축되고, 육체노동의 자동화에서 정신지식 노동의 자동화로 인해 소프트웨어 및 AI 중심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10년 후 당신의 직업에 가장 영향을 줄 미래 기술에 대한 설…

메뉴 : 한국고용정보원-국문>발간자료>정기간행물>고용이슈 게시일 : 2017년 2월 21일
빅데이터를 이용한 고객맞춤 서비스와 대화 로봇

최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 서비스를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하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고객 개인별로 필요로 하는 요구를 파악하여, 공공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방대한 정보에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세부적인 맞춤 정보를 찾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맞춤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으로서 현재 세…

메뉴 : 한국고용정보원-국문>발간자료>정기간행물>고용이슈 게시일 : 2015년 8월 13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