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인프라 구축: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 목적 제3절 연구 내용 제4절 연구 방법 제5절 연구 모형 제6절 연구의 제한점 제2장 선행연구 고찰 제1절 한국직업정보시스템 및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제2절 국내외 직업정보시스템 운영실태 제3절 국내외 취업정보시스템 운영실태 제4절 국내외 개방형 직업정보시스템 개발 사례 제5절 종합 및 시사점 제3장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운영체계 개발 제1절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개발 관련 인식 및 요구 제2절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운영체계 초안 도출 및 타당화 제3절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최종 운영체계 개발 제4절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세부영역 간 중요도 분석 제4장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운영방안 개발 제1절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운영방안 초안 도출 및 타당화 제2절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최종 운영방안 개발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제언 참고 문헌 부록 [부록1]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델파이 조사지(1차) [부록2]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델파이 조사지(2차) [부록3] 개방형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세부영역 간 중요도 설문조사지
요약
이 연구는 현재 공급자의 관점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직업정보시스템(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 KNOW)에서 제공중인 직업정보의 시의성을 개선하고, 친사용자 중심의 직업정보의 생산 및 전달방식을 유도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용자가 직업정보 제작 과정에 참여하는 개방형 형식을 적용한 한국직업정보시스템 운영에 요구되는 운영체계(직업정보 구성 및 직업정보 전달방식)와 운영방안(직업정보 신뢰성 강화 및 사용자 유입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