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세대상생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저자
최영순, 박가열, 이장희, 김명중
게시일
2024-08-07
주제대상
고용서비스
조회수
1515
다운로드
446
바로보기
14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주요 이슈 및 선행연구 제1절 청년-중장년 관련 주요 이슈 제2절 청년-중장년 세대 일자리 관련 선행연구 제3장 일본의 청년-중장년 정책과 세대 상생 사례 제1절 청년고용상황 제2절 청년고용관련 정책 제3절 일본 정부의 고연령자 고용 연장 추진 제4절 중고령자와 청년의 협업사례 제5절 중고령자와 청년을 둘러싼 고용 이슈 제6절 소결 제4장 국내 청년-중장년 세대 상생 사례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세대 상생 일자리 관련 정책 사업 제3절 세대 상생 일자리 관련 사례 제4절 소결  제5장 세대 상생 방안 조사 결과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고용 및 기업지원 서비스 전문가 FGI 제3절 청년 및 중장년 FGI 제4절 소결 제6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제언 참고 문헌 [부록 1] 사례조사 질문지 [부록 2] FGI질문지

요약

최근 우리 사회의 ‘세대’는 주된 일자리 이후에도 일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중장년과 이들의 고용연장으로 기존의 ‘괜찮은 일자리’에 진입하 기 더 어려워진다는 불안감이 내재된 청년에게는 갈등과 소통이라는 화두를 던지고 있다. 그럼에도 세대들의 강점과 연륜, 혁신이 만나 시너지를 창출하고 역량을 제고하는 시도가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청년과 중장년 각 세대의 경험과 관심이 만나 협업하는 사례를 발굴하고 향후 고용환경에서 함께 할 가능성이 커지는 이들에게 필요한 지원과 인식에 관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에서의 청년과 중장년을 둘러싼 최근 이슈 및 선행연구와 특히 고령인구의 일과 관련한 일본의 정책을 분석하였으며 정부와 지자체에서 의 세대 상생 관련 사업, 기업에서의 세대 상생을 위한 노력을 찾아보고 특히 최근 청년들이 적극적으로 중장년과 협업하는 다양한 사례를 발굴, 조사하였 다. 또한 기업 및 고용서비스 분야 종사자, 실제 세대 상생 경험의 당사자들을 만나 일자리에서 만나게 될 청년과 중장년의 갈등을 완화하고 각 세대가 시너 지를 낼 수 있는 인식변화와 지원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