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표지_활동적 고령화를 위한 고용정책 연구

활동적 고령화(Active Aging)를 위한 고용정책 연구

활동적 고령화(Active Aging)를 위한 고용정책 연구

저자
강민정, 이선
게시일
2024-08-14
주제대상
고용서비스,중장년
조회수
865
다운로드
346
바로보기
12
키워드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들어가기 제2절 고령 인구 정의 및 구성 제2장 고령사회의 환경 변화 제1절 노인인구 전망 제2절 사회경제적 환경변화 제3절 노인가구의 경제 상황 제4절 고령인구 경제활동 상태 변화 제3장 고령자 일자리 정책 현황 제1절 고용자 정책 제2절 활동적 노년지수 산출 분석 관련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제3절 소결 제4장 노인일자리 참여 현황 및 운영 실태 제1절 노인일자리 현황 제2절 노인일자리 경험자의 특징 제3절 노인일자리 시사점 제5장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현황 및 운영 실태 제6장 노인일자리 관련 인터뷰 및 FGI 제1절 노인일자리 관련 전문가 인터뷰 제2절 노인일자리 참여자 FGI 제3절 소결 제7장 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 참고 문헌

요약

활동적 노화는 ‘노인은 가난하고, 병약하며, 생산적이지 못하다’라는 부정적인 유형화에 반대하며, ‘노화에 따른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강(health), 참여(participation), 보장(security)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활동적 노화가 노인 정책의 중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노인에게 일자리의 제공은 소득 보장과 사회 참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활동적 노화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때 노인의 일자리는 노동시장 참여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문화·종교적 참여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WHO, 2002). 일자리를 통한 경제적, 사회적 참여는 노인의 욕구를 충족하고 자아실현을 도와 복지를 증진시켜, 사회의 지속과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