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산업·일자리전환을 위한 재직자 훈련 성과제고 방안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제3절 실태조사를 통한 분석 데이터 생성 제2장 산업구조 변화와 교육훈련 정책 제1절 산업구조 변화 대응 교육훈련 정책 동향 제2절 산업ㆍ일자리전환 대응 (고용부 외) 교육훈련 사업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제3장 산업·일자리전환과 재직자 훈련정책 제1절 산업·일자리전환 대응 고용노동부 재직자훈련 사업 제2절 재직자 교육훈련 사업별 특성 및 이슈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숙련전환과 직업교육훈련 해외사례 제1절 숙련전환의 배경 제2절 일 기반 학습 직업교육훈련 해외사례 제3절 숙련 정책 인프라: 전환 관련 숙련 정보 인프라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일자리전환 재직자 교육훈련과 정책수요 제1절 산업·일자리전환 인식 제2절 재직자 역량강화 교육훈련 제3절 일자리전환 재직자 훈련수요 제4절 일자리전환 재직자 훈련정책 제6장 결 론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제2절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기업의 일자리전환 대응 재직자 훈련수요 조사 설문지 부록 2: 훈련센터의 일자리전환 대응 재직자 훈련수요 조사 설문지
요약
최근 정부는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공정한 노동전환 지원 방안」을 발표하는 등 저탄소·디지털화에 대응하여 근로자의 원활한 일자리전환을 위한 정책이 중요해지고 있다. 재직 중 신산업 분야 직무전환 훈련을 지원하여 고용유지를 유도하고 불가피한 인력 조정 시 사전 전직 준비 및 재취업 지원 강화 등을 정책과제로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디지털화에 따른 재직자 훈련 실시 현황, 필요 훈련수요, 정책수요 등을 파악하고 산업·일자리전환 대응 관점에서 재직자 교육훈련 정책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교육훈련 정책 동향, 산업·일자리전환에 대응하는 주요 부처의 교육훈련 사업, 고용부의 재직자 교육훈련 사업, 일-기반 학습 직업교육훈련 해외 사례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사업체·훈련기관 대상의 실태조사에서는 일자리전환 재직자의 훈련 실시 현황, 필요 훈련수요, 정부 정책수요 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심층 분석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