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반도체제조업의 일자리전환 실태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제3절 실태조사 개요 제2장 반도체제조업의 산업혁신과 인력정책 제1절 반도체제조업의 산업혁신 지원 제2절 반도체제조업의 산업구조 변화 제3절 반도체제조업의 전환 대응 인력정책 제3장 반도체제조업 근로자의 일자리전환 제1절 반도체제조업의 인력 및 미스매치 제2절 반도체제조업의 산업혁신 제3절 반도체제조업의 일자리전환 제4장 반도체제조업 근로자의 직업훈련 제1절 일자리전환 직업훈련 수요 제2절 일자리전환 직업훈련 현황 제3절 일자리전환 직업훈련 정책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제2절 정책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반도체제조업의 산업 및 일자리 전환 실태조사 설문지
요약
저탄소·디지털화에 대응하여 근로자의 원활한 일자리전환을 위한 정책이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는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한 공정한 노동전환 지원 방안」을 발표하였다. 본 지원 방안에서 저탄소화 영향으로 중·단기적 고용감소가 예상되는 7개 산업군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본 연구의 대상 산업인 반도체 산업은 단기적 고용감소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탄소중립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 노동전환 수요에 따라 선제적인 노동전환 준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디지털화 영향으로 사업재편·전환 및 일자리전환 수요가 중장기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도체제조업을 대상으로 산업·일자리전환 실태를 파악하고 정부의 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의 공정한 일자리전환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저탄소·디지털화에 대응한 반도체 산업의 혁신 지원 동향, 산업·일자리전환 대응 인력정책 흐름 등 반도체 산업을 개관하고, 반도체제조업의 산업·일자리전환 현황, 직업훈련·정책지원 수요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심층 분석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