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산업 구조 전환에 따른 일자리 변동 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구성 제2장 기술 발전이 노동생산성, 인력수요, 임금 분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기술 발전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3절 기술 발전에 따른 인력수요 변화 제4절 기술 발전이 임금 분배 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5절 소결 제3장 산업 구조 전환이 여성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여성 노동시장과 산업 전환 제3절 여성 일자리의 생성과 소멸 제4절 소결 제4장 제조업 고령 근로자의 고용과 임금 불평등 제1절 서론 제2절 연구 방법 제3절 분석 결과 제4절 소결 제5장 산업별 일자리 변동 양상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산업별 일자리 변동 추이 제3절 산업별 일자리의 직종 구성 변화 분석 제4절 소결 제6장 탄소중립 추진이 주요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탄소중립 추진이 자동차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제3절 탄소중립 추진이 석탄화력발전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제4절 탄소중립 추진이 철강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제5절 탄소중립 추진이 석유화학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제6절 탄소중립 추진이 시멘트 제조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제7절 탄소중립 추진이 정유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제8절 탄소중립 추진이 반도체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제9절 탄소중립 추진이 디스플레이 업종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제10절 소결 제7장 디지털 기술 혁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제1절 서론 제2절 음식료품 제조업 제3절 섬유 및 가죽제품 제조업 제4절 화학 및 의료용 물질 제조업 제5절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제6절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제7절 1차 금속 제조업 제8절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제9절 전기전자 제조업 제10절 전기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 제11절 전기장비 제조업 제12절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제13절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제14절 건설업 제15절 도매 및 소매업 제16절 운수 및 창고업 제17절 숙박 및 음식점업 제18절 정보통신업 제19절 금융 및 보험업 제20절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제21절 공공행정 및 교육 제22절 보건 및 사회복지 제8장 디지털·저탄소 전환에 따른 전문인력 수요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조사 개요와 방법 제3절 산업별 전문인력 수요 분석 제4절 소결 제9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요약
디지털 기술 발전은 생산과 노동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동일한 생산요소 투입으로 더 많은 생산이 가능하도록 생산성을 높이고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생산공정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 생산 과정의 변화를 가져오며 이런 생산, 생산 과정의 변화는 노동시장에서의 인력수요 변화를 추동할 수 있다. 탄소중립 역시 국내 경제와 노동시장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적으로는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겠지만 중장기적으로 탄소배출을 줄이는 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이 많은 산업의 생산과 고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디지털 기술 발전, 탄소중립 추진에 따른 산업 구조 전환이 인력수요,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