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2차 베이비부머세대의 노동시장 (고령화고용패널 심층분석)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통해 살펴본 베이비부머의 특징 제1절 베이비부머 추이 변화 제2절 1차베이비부머와 2차 베이비부머의 특징 제3절 소결 제3장 2차 베이비부머의 일자리 분석 제1절 2차 베이비부머의 고용 변화 제2절 2차 베이비부머 피보험자 현황 제3절 2차 베이비부머의 일자리 이동 제4절 소결 제4장 중고령자의 세대 간 특성 - KLoSA와 KLoEE를 중심으로 -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중고령 세대 간 특성 제3절 중고령 세대 간 주된 일자리와 일자리 이동 제4절 소결 제5장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일자리 지속 영향요인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선행연구 분석 제3절 분석 자료 및 분석 방법 제4절 분석 결과 제5절 결론 및 시사점 제6장 결론 참고 문헌
요약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시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본격 적인 퇴직을 앞둔 2차 베이비부머의 고용과 일자리 특성, 생애 주된 일자리, 재취업 일자리 등을 분석함으로써 중고령자 고용정책 개발에 필요한 자료로 기능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또한 분석에 활용되는 자료는 거시적 자료로서 「경제활동인구조사」, 고용행정 자료인 「고용보험DB」, 2차 베이 비부머의 고용정책 기초자료가 될 「고령화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해당 세대의 노동시장 현황과 특성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 본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된다. 2장에서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차 베이비부머와 2차 베이비부머의 지난 10년간의 경제활동 상태의 변화와 특징을 고찰해 보고, 집단별 특성에 맞는 핵심 정책 방향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용보험DB」, 「고령화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2차 베이비부머의 일자리 현황과 일자리 이동 특성을 분석 하였다. 다음 4장에서는 2차 베이비부머와 15년 전 같은 연령대의 노동시장과 생애 주된 일자리 특성, 재취업 일자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고령화고용패널」과 「고령화연구패널」, 「고령화연구패널 직업이력조 사」를 연계하여 사용하였고, 분석을 통해 중고령층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동시장, 생애 주된 일자리와 재취업 일자리 등에서 세대 간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는 「고령화고용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2차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