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연구
목차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3. 연구의 방법 및 절차
4.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직업심리검사 개요
1) 직업심리검사의 개념
2) 직업심리검사의 기능
3) 직업심리검사의 분류
4) 발달단계에 따른 직업심리검사의 활용
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1)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개요
2) 한국고용정보원 직업심리검사 운영 및 활용현황
3. 효과성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
1) 청소년 직업흥미검사
2) 청소년 직업적성검사
3) 직업선호도검사(L형)
4) 성인용 직업적성검사
4.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 선행연구
1) 국내외 선행연구
2) 효과성 측정을 위한 준거변인
Ⅲ. 연구 설계 및 조사도구
1.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연구 설계
1) 청소년 대상 실험 연구
2) 성인 대상 실험 연구
2.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조사 도구
1)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
2)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측정을 위한 준거변인 설정
3) 조사 도구 개발
Ⅳ.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1.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1) 중학생의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2) 고등학생의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3)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결과 종합
2. 성인 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1) 대학생의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2) 직장인의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3) 성인대상 직업심리검사 효과성 분석 결과 종합
Ⅴ. 직업심리검사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 직업심리검사 실시 영역
2. 직업심리검사 실시 환경 영역
3. 직업심리검사 결과 활용 영역
4. 직업심리검사 담당 인력 영역
Ⅵ. 결론 및 제언
1. 결 론
2. 제 언
참고문헌
부록
[부록1] 청소년용 사전조사 질문지
[부록2] 청소년용 사후조사 질문지
[부록3] 성인용 사전조사 질문지
[부록4] 성인용 사후조사 질문지
[부록5] 직업상담원용 조사 질문지
요약
1. 연구 필요성 개인의 삶에 있어서 진로(career)는 일생 동안에 걸쳐 이루어지는 일이나 직업과 관련된 총체적 경험과 그와 관련된 지속적인 발달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발달의 과정에서 개인은 필연적으로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선택의 순간에 직면하게 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