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중장기 표지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21~2031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21~2031

저자
박진희, 정재현, 김수현, 홍현균, 김새봄, 정순기, 방글, 공정승, 이혜연, 박미화, 김영달, 권재혁, 이정아, 권혁진, 김안국, 성재민, 이승렬, 이용호, 최강식
게시일
2023-07-12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2879
다운로드
1982
바로보기
9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코로나19 전후 여성 노동시장 참가의 변화 제3장 경제 위기와 청년 노동시장 분석 제4장 중ㆍ고령자 노동시장과 은퇴 제5장 국민연금 수급이 베이비부머의 경제활동 참가에 미치는 영향 제6장 코로나19 확산 전후 체류 외국인의 변화 제7장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기술 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제8장 중장기 노동 공급 전망 제9장 경제 성장 및 산업별 부가가치 전망 제10장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1장 직업별 취업자 수 전망 제12장 구인 인력수요 전망 제13장 부문별 인력수요 전망 제14장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전망 자료 및 전망 모형

요약

본 보고서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향후 10년간 인력공급과 인력수요가 어떻게 변화할지를 전망한 결과를 주요 내용으로 담고있으며, 주제별로 여성, 청년, 중·고령층, 외국인 등 특정 대상의 국내 노동시장에서의 인력 변화와 연금수급의 베이비부머의 경제활동 참가 영향,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기술변화가 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의 심층 분석을 포함하고 있다. 중장기 인력공급전망은 한국고용정보원의 미시모의실험(KEISIM) 결과를 바탕으로 생산가능인구,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등 인력공급전망을 포함하며 인력수요전망은 표준산업분류 소분류 수준의 산업, 표준직업분류 세분류 수준의 취업자 수 전망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노동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국내 노동시장 및 산업별 직업별 인력수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 결정자들에게는 국가 중장기 인력수급 정책을 수립하는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