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이슈

KECO 직업분류를 이용한 직업 특성에 관한 소고
목차
KECO 직업분류를 이용한 직업 특성에 관한 소고
제17호, 2007.11.28, 남기성
목차
1. 서론
2. 직업의 분류 체계와 Job Map 자료 분석
3. 직업분류의 통계적 그룹화
4. 결론
요약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관점으로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임금에 대한 연구가 아니고 통계학적인 관점에서의 임금에 의한 분류로서 직업군들 간에 작용하는 몇 가지의 변수를 이용하여 소득(실제 분석은 임금)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직업군들을 그룹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KECO 직업분류의 중분류 상에서 통계적 관점으로 2차원 산점도에 의한 그룹 화와 군집분석에 의한 군집화 결과 ‘관리직’은 다른 직업과 여러 가지 형태에서 다른 그룹으로 분류가 되며, 또한 ‘법률, 경찰, 소방, 교도 관련직’과 ‘금융, 보험 관련직’ 그리고 ‘정보통신 관련직’이 다른 차원에서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경비 및 청소 관련직’과 ‘농림, 어업 관련직’도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되고 있다. 직업 소분류에 의한 분석 결과 직업 중분류를 세분화하여 동일 그룹 내에서도 특성이 다른 직업으로 분화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KECO 분류의 특징인 기술의 종류 (skill type)를 보완하여, 표준 직업 분류의 특징인 기술의 수준(skill level)의 장점을 받아들이는 분석이라 할 수 있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