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이슈

0110_0

여성 경제활동인구 천만 시대, 경력단절현상은 개선되고 있는가

여성 경제활동인구 천만 시대, 경력단절현상은 개선되고 있는가

저자
권혜자
게시일
2007-10-24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여성
조회수
18758
다운로드
1044
바로보기
138
키워드

목차

여성 경제활동인구 천만 시대, 경력단절현상은 개선되고 있는가
제11호, 2007.10.24, 권혜자


목차

1. 문제제기
2. 여성의 경력단절현상은 개선되고 있는가
3. 어떤 연령대에서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했는가?
4. 왜 20대 후반 이후 여성 자영업자 및 비정규직이 늘어나는가?
5. 경력단절의 개선과 여성 비정규직의 증가
6. 결론 및 정책함의


요약

이 글에서는 여성경제활동인구 천만시대를 맞이하여 과연 여성 경제활동인구의 증가가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현상을 개선했는가를 살펴보았음. 그 결과 첫째, 여성의 M자형 노동공급곡선은 과거에 비해 개선된 형태를 보이는데, 외환위기 이후 혼인연령의 지체와 청년여성의 노동시장 부착률이 높아지면서 나타난 현상임. 둘째, 10년 전 30대 초반은 10년 후 40대 초반이 되는 사이에 16.2%p라는 놀라운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를 보임. 즉 지난 10년간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이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인 주요 원인임. 다만 연령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종사상 지위에서 비정규직 및 자영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경력단절을 거치면서 좋은 일자리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줌. 결론적으로 청년 여성 경제활동인구의 증가에 의해서 경력단절현상은 완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출산·육아시점을 전후하여 경력절현상이 존재하므로, 고학력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성 일자리의 질적 개선이 요구됨.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

한국고용정보원

(27740)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태정로 6 한국고용정보원

일반문의: 홈페이지 > 기관소개 > 조직도 > 전화번호 참조 | 고용정보시스템 이용 안내: 1577-7114(유료)

COPYRIGHT ⓒ KEI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