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설계
표집과정
고령화고용패널의 개념상 규정된 목표 모집단(target population)은 조사 시점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모든 가구 내의 1964~1976년생(구축 당시 44~56세) 내국인 가구원 전체로, 표본추출틀(sampling frame)은 2019년 기준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의 전체 조사구 중 섬, 기숙시설, 특수사회시설, 관광호텔 및 외국인 조사구를 제외한 아파트 조사구와 일반조사구 리스트이다. 2021년 제1차 조사에서는 일반가구에 거주하는 1964~1976년생(구축 당시 44~56세)의 2차 베이비부머 9,000명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가구당 만 42~54세 가구원 수의 평균이 약 0.53명임을 감안, 각 표본 조사구에서 14가구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조사함으로써 표본 조사구당 약 7명을 조사하도록 하고 1,286개의 표본조사구를 추출하였다.
조사 모집단의 층화
인구주택총조사 조사구에 대한 표본설계에서는 7개 특별·광역시와 9개 도 지역으로 1차 층화하였다. 서울 및 광역시, 세종시는 동부와 읍·면부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조사구 특성(아파트/일반)에 따라 층화하였고, 9개 도 지역에 대해서는 동부와 읍·면부로 세부 층화한 후, 각 층에서 조사구 특성(아파트/일반)에 따라 세부 층화하였다. 표본조사구 1,286개의 층별 배분은 조사대상 인구가 적은 시도에서도 최소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 시도별로 20개 조사구를 우선 배정하고, 나머지는 조사대상 인구에 비례하여 배분하였다.
각 층에서 표본조사구의 추출은 우선 층 내 전체 조사구를 행정구역 코드를 기준으로 정렬한 후에 확률비례계통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각 표본조사구에서는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의 가구 명부를 이용하여 각 표본조사구에서 14가구를 계통추출방식으로 추출하여 실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대상
고령화고용패널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964~1976년생(구축 당시 44~56세)의 2차 베이비부머 개인을 대상으로 하며 표본 수 9,000명을 목표로 표집하여 제1차 조사 결과 9,358명이 최종 패널로 구축되었다.
조사방법
태블릿 PC를 이용한 대인면접방법(TAPI : Tablet PC Aided Personal Interview)으로 면접원이 직접 가구를 방문하여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