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설계

표본추출

청년패널2001(YP2001)
  1. 1. 199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10% 표본조사구(섬지역 조사구와 시설단위 조사구를 제외한 22,029조사구)를 조사모집단으로 하고 있다
  2. 2. 청년패널2001(YP2001)은 2001년도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이하 OES 조사)의 표본가구 가운데 청년층을 조사하는 부가조사 방식으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패널조사만의 표본 추출틀을 갖고 있지는 않으며 OES 조사에서 사용된 표본추출방법을 그 모태로 하고 있다.
  3. 3. 2001년도 OES 조사는 산업 소분류별, 직업 세분류별 고용인원추정을 주목적으로 하는 조사로서 전국을 대상으로 표본 50,000가구를 사용하였다.표본추출을 위한 조사모집단으로 1995년도 인구주택 총조사를 사용하였으며, 10% 표본조사구 중에서 섬지역 조사구 (제주도는 포함)와 시설단위 조사구를 제외한 22,029개의 보통 조사구를 추출단위로 하는 표본틀을 구성하였다.
  4. 4. 조사에 사용되는 표본 조사구는 7대 대도시와 각 도의 동부와 읍·면부의 총 15개 지역별로 작성된 추출단위 조사구 명부에서 각 시ㆍ도별 표본조사구를 조사구내의 가구수 규모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비례확률계통표집(probability proportional to size systematic sampling)을 적용하여 추출하였다.추출한 2,500개 조사구에서 각 조사구 당 20가구가 계통추출법(systematic random sampling)에 의해 선정하였다.
  5. 5. 결국 조사대상가구는 지역, 주택특성, 산업구성비 등이 고려된 분류지표를 감안하여 조사구내의 가구수 규모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비례확률계통추출법을 적용한 2단 군집추출(2-stage cluster sampling)방법에 의해 추출된다.
  6. 6. 조사구 붕괴로 인해 조사가 불가능할 경우 분류지표를 감안한 유사 조사구로 대체된다. OES 조사를 위해 선정된 50,000가구 중에서 약 20%는 조사구별 무작위추출법(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약 10,000가구를 청년패널구축의 대상가구로 선정하였다.
  7. 7. 평균 가구원수를 3.12명으로 추정하고 이중 만15세 이상 29세 이하의 인구비율을 25%로 추정하면 조상대상표본의 수는 약 8,000명으로 추정된다.
  8. 8. 이를 대상으로 1차년도 예비조사를 시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2차년도 본조사 진행시 5,956명에 대한 청년패널을 구축을 완료하였다.
청년패널2007(YP2007)
  1. 1.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조사)의 90% 조사구(섬지역 조사구와 시설단위 조사구를 제외한 237,680조사구)의 전체 가구 중 청년거주 가구를 모집단으로 하고 있다.
  2. 2. 청년패널2007(YP2007)은 2006년도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이하 OES 조사)의 표본가구 가운데 청년층을 조사하는 부가조사 방식으로 시작되었다.따라서 패널조사만의 표본 추출틀을 갖고 있지는 않으며 OES 조사에서 사용된 표본추출방법을 그 모태로 하고 있다.
청년패널2021(YP2021)
  1. 1. 2019년 인구센서스 전수 조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2021년 기준 20대 청년층(만19~28세)을 대상으로 신규 표본 1만 2천 명 규모로 설계하였다.(20대 청년 수 9인 미만 조사구(75,954개) 제외 총 293,854개 조사구)

    ※전체 373,335개 조사구 중 섬조사구 및 기타 사회시설 조사구(928개), 빈집조사구 및 비연계조사구(321개), 20대 청년 비거주조사구(2,302개)

  2. 2. 청년패널2021(YP2021)은 노동시장 진입과정 등의 상태 변화가 다양해지는 시점인 20대(만 19~28세)로 연령 범위는 축소하고 규모는 1만 2천 명으로 늘려 다양한 집단별 분석에 필요한 유효표본수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3. 3. 청년패널2021의 표본설계는 층화 요인에 17개 시도와 동부/읍면부 특성, 보통/아파트 조사구 특성을 고려한 층화 2단계 집락추출법을 적용한 확률표집을 활용하였다.

    가. 1단계 : 조사구 추출(층별 20대 청년 수에 비례하는 비복원 확률비례표집), 2단계 : 가구 추출(1단계 추출된 조사구 내 30가구 계통표집)

    나. 최종적으로 선정된 가구를 접촉하여 스크린 조사(20대 청년 거주 여부 확인) 진행 후 20대 청년 거주 가구를 중심으로 패널 구축 및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1. 1. (YP2001) 1차(2001)년도 청년패널조사에서 표본 6,500여 가구 중 만15~29세에 해당하는 청년층은 11,074명이었으며, 이 중 8,296명이 조사에 응답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2차 조사부터는 원표본 5,956명 구축을 완성하였고 매년 동일인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한다.
  2. 2. (YP2007) 청년패널2007(YP2007)의 조사대상자는 이중표본추출(Double Sampling)에 의한 층화ㆍ계통추출법을 적용하여 설계된 표본으로 이루어졌다. 이중추출법의 1단계로 2006년 OES조사 결과 표본추출된 가구를 대상으로 청년거주가구 스크린 서베이를 실시 했다. 2단계로 스크린 조사를 통해 확보된 만15~29세 청년층 가구원 47,282명 중 12,000명을 청년패널 본표본으로 구축하였다.
  3. 3. (YP2021) 청년패널2021 1차 조사에서는 만 19~28세 청년층 12,213명이 조사에 응답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2차 조사부터는 매년 동일인을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가. 대졸 청년, 고졸 청년 집단을 모두 아우르고, 이들에 대한 노동시장 진입과정을 밀도있게 추적 관찰하여 청년 고용 정책 수립 등 청년 일자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조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대(만 19~28세)로 구축하였다.

    나. 청년패널2001과 2007의 조사대상 연령대 : 만 15~29세

조사방법(YP2021)

  1. 1.조사대상자 사전 접촉 : 조사 실시에 앞서 패널 대상자를 대상으로 조사 실시에 대한 안내 및 홍보활동을 실시하였다.
  2. 2. 본 조사 : 조사원이 직접 구조화된 설문이 탑재된 태블릿PC를 가지고 응답자를 방문하여 질문하고 그 응답을 기록하는 면접 타계식 조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가.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한 대면면접법(CAPI : Computer Assisted Personal Interviewing) 방식을 활용하였다.

    나. 응답자의 갑작스러운 사정(질병, 사고 등)이 발생하여 대면면접조사가 어려운 일부 패널에 대해서는 웹조사를 실시하였다.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