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청년노동시장과 공공 고용서비스 성과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선행연구, 연구의 구성, 분석방법 제2장 청년 노동시장 현황 제1절 청년층 노동공급 현황 제2절 청년층 노동수요 현황 제3절 청년층 실업자 현황 제4절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현황 제5절 소결 제3장 청년층의 일자리 및 노동력 변동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청년층의 일자리 및 노동력 변동 제3절 청년층의 일자리 및 노동력 변동의 특징 제4절 소결 제4장 청년층의 노동이동 유형과 성과 분석 제1절 논의의 배경 제2절 청년층 이직유형과 재취업 성과 제3절 산업간 이동조합과 성과의 서열화 제4절 소결 제5장 청년층의 노동이동과 고용서비스성과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제3절 청년층의 고용서비스 참가에 대한 성과 분석 제4절 소결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요약
최근의 청년층 순일자리 변동을 청년 스스로 자신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나타난 노동력 변동과 대규모 사업체를 중심으로 사업체 내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연령 계층 간 순고용 대체가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와 고령화의 심화로 노동력 부족이 예상되는 가운데 대규모 사업체를 중심으로 중장년층에서 청년으로 인력대체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J2J 노동이동은 청년층 스스로의 자발성을 기초하는 원활한 이동성 지표로 볼 수 있는데, 이직 전 직장의 사업체 규모가 소규모일수록 J2J 노동이동비율이 낮으며, 이후 규모가 커지면서 증가하다가, 일정 대규모 사업체 구간에 진입하면서 다시 낮아지는 역 U자형 패턴을 지닌다. 취약한 소규모 일자리에서의 비자발적 이동 양상이 강하고, 대규모 직장에서는 양질의 일자리로 판단하여 자발적 이직이 억제되는 양상이다. 청년층의 실업-취업으로 노동이동에서의 고용서비스 정책은 청년 일자리 상실자의 재고용 가능성을 유의미하게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직업훈련, 국취 혹은 취성패 참여자의 경우 재고용 가능성이 매우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다만, 청년층의 실업-취업으로 노동이동에서의 고용서비스 중 취업지원서비스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